1.1. 특성화 추진 경과
◦ 우리 대학은 1998년 ‘제1기 장ㆍ단기발전계획’을 시작으로 2003년 ‘안양비전 2010’, 2005년 ‘아리 2010+’, ‘아리비전 2020’, ‘아리비전 2020+’를 수립- 특히 ‘아리비전 2020+’는 급변하는 대학정책과 교육・사회・경제적 환경 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수립한 수정계획임
[표 1] 중장기 발전계획과 특성화 추진 경과
구분 | 중장기 발전계획 | 특성화 내용 |
1998년 | 『장단기발전계획』수립 |
① 기독교 정신과 ‘한구석 밝히기’의 실천적 덕목을 실현하는 대학 ② 전문인·기술인을 양성하는 교육·산업 중심 대학 ③ 세계화·정보화 시대의 열린 대학 구축 |
2004년 | 『안양비전 2010』수립 | 혁신역량강화 - 주기적인 신규학문분야 발굴 기존특성화분야에 대한 지속적 지원 지역혁신과 미래도시 아름다운 리더의 교양교육 발전 |
2005년 | 『아리 2010+』수립 |
① 지역 혁신과 미래 도시 - 본 특성화 분야의 목표는 지역 혁신과 미래 도시(RIS & Jⓔuse City)건설을 위한 맞춤형 인재의 양성임 ② 아름다운 리더 양성 통합 교육 시스템 구축 - 본 특성화 분야의 목표는 안양대학교가 교육지표로 삼고 있는 아름다운 리더의 육성을 위한 통합 교육 시스템의 구축임 |
2009년 | 『아리비전 2020』수립 | ① 수요 중심 대학 ②특성화 대학 ③지역 거점 대학 ④교육 혁신 대학 |
2014년 | 특성화추진계획서(2009~2020) | ① 실무형 우수인재 양성 및 대학 경쟁력 제고를 위한 특성화 추진계획수립 |
2014년 | 『아리비전 2020+』수립 |
① 수요 중심 대학 ②특성화 대학 ③지역 거점 대학 ④교육 혁신 대학 - 특성화 대학 실현을 위한 창의혁신 역량 강화 전략 구체화 |
2015년 | 창의융합 강소대학 특성화 추진계획서(2015~2020) | ① 창의융합 강소대학 특성화 추진전략 수립 ② 스마트발명디자인그룹, 동북아관광통상그룹, 평생교육그룹 특성화 추진 |
1.2. 특성화 계획 수정의 필요성
◦ ‘아리비전 2020+’의 4대 발전목표인 ‘특성화 대학’ 실현을 위해서는 ‘창의혁신 역량강화’라는 전략을 구체화할 수 있는 실행계획이 필요함- 특성화 계획은 새로운 장기발전계획인 ‘아리비전 2020+’에 부합되고, 안양대학교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집행을 전제로 한 Action Plan이 되어야 함
- 특히 변화하는 산업・사회 환경 등과 기업・산업체 수요 및 정부주도의 선제적 대학구조개혁조치에 대응하고 저출산・고령화에 따른 학령인구의 감소문제와 국내시장의 포화와 세계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특성화 계획이 요구됨
- 또한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장기적 산업계 인력 수요와 불일치하는 대학 교육의 구조적인 문제를 파악하고 우리대학 특성화학과(분야)부터 개선하여 상품으로서의 대학교육이라는 개념을 확보해야 치열한 대학 간 경쟁에서 도태되지 않고 백년대계를 할 수 있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