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공연예술학과의 설립 취지는 "성숙된 인격과 창조적 사고력을 겸비한 다재다능한 전문 예술인 육성"이다. 과거와 달리 대단히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현재의 공연예술과 미래가 요구할 공연예술을 이해하고, 예측하고, 창조할 수 있는 전문인이 되기 위해서는 심미적이며 지적인 안목을 기를 수 있는 체계적인 학습과 훈련 그리고 창작 경험은 필수적이다. 이러한 전문인 양성을 목표로 본 대학 공연예술학과에서는 졸업과 동시에 현장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실기·실습 위주의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, 그러한 교육과정을 지원할 수 있는 교육공간과 기자재 그리고 현장에서의 실무 경험이 풍부한 교수진을 갖추고 있다.
- 탤런트, 연극배우, 영화배우, 뮤지컬배우, 연출가, 공연기획자 및 제작자, 공연 스탶, 방송국, 영화사, 기획사, 연극지도교사, 리포터 등
공연예술학과에서는 다음과 같은 전문 인력의 양성을 추구한다.
- 첫째, 공연예술의 핵심이며 꽃으로 표현되는 연기자.
- 둘째, 작업현장에서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지 않고 활약하는 연출을 비롯한 스탶.
- 셋째, 기획, 제작, 유통, 이벤트 등의 산업현장 인력.
- 넷째, 공연예술을 활용한 학습이나 치료 또는 연구나 교육을 담당하는 인력
-
-
이춘길 교수
-
-
- 브레멘대학교 철학박사 문화학과
- 서울대학교대학원 문학석사 미학
- 서울대학교 문학사 미학
-
ltt22@anyang.ac.kr
-
-
-
송한윤 교수
-
-
- 중앙대학교 문학석사 연극영화
- 중앙대학교 문학사 연극영화학과
-
actor-song@anyang.ac.kr
-
-
-
허윤정 교수
-
-
- 성균관대학교 박사 공연예술협동과정
- 성균관대학교 언론학석사 언론매체학과
- 중앙대학교 문학사 연극영화학과
-
yjhurbest@anyang.ac.kr
-
-
-
김석 교수
-
-
- 한양대학교 연극학박사 연극학
- 중앙대학교 연극학석사 연극학과
- 한양대학교 문학사 연극영화과
-
suk91@anyang.ac.kr
-
교과목명 | 교과목 설명 |
---|---|
기초연기Ⅰ, Ⅱ Acting the basicⅠ, Ⅱ | 음성훈련과 신체훈련, 감성훈련을 통해 연기자가 자신의 소리와 몸짓, 감정 등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상황에 맞게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교과로 제작실습 과목과 연계하여 교육한다. |
연극개론 Introduction to the Theatre | 연극을 다른 예술과 구별 짓는 특징, 기원과 효능, 전반적인 구조와 형식 등을 파악하여 창작 및 감상활동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. |
스피치 기초 Speech Training the Basic | 한국어의 특성을 기초로 올바른 호흡과 발성, 정확한 발음, 고저완급의 조절, 휴지(Pause)의 활용 등의 훈련을 통하여 바른 언어생활과 연기에 필요한 다양한 언어 표현 능력을 기른다. |
연기론 Theory of the Acting | 배우, 연출가, 이론가들이 주장하는 다양한 연기론과 훈련체계를 바탕으로 연기의 본질과 예술성에 대해 고찰한다. |
뮤지컬 성악Ⅰ, Ⅱ Training for the Musical SongⅠ, Ⅱ | 뮤지컬 배우로서 활용할 수 있는 성악적인 발성법과 호흡법을 기초로 하여 악보에 나타난 음악적 언어를 정확하게 표현하는 능력을 연마한다. |
춤ⅠⅡ, DanceⅠ,Ⅱ | 연기자에게 유연한 신체는 필수적인 만큼 뮤지컬을 비롯하여 어떤 연극에서든 작품이 요구하는 안무 및 동작을 해낼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. |
장면연기 실습ⅠⅡ, Practice of Scene ActingⅠ, Ⅱ | 기초연기 과목을 통해 습득한 기본기를 장면을 만들어보면서 더욱 다양화, 세분화시켜 훈련한다. 연기자로서의 개인적 자질을 발견하고 구체화하며 체계적 실습과 훈련을 통해 신체적, 감상적 표현을 배양하고 창조적인 연기능력을 확장한다. |
작품분석 Analysis the Plays | 연극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희곡들을 선택하여 작가연구와 더불어 극의 줄거리를 바탕으로 주제, 구성과 구조, 등장인물의 성격, 그리고 시대별, 사조별, 작가별로 각기 다른 특징 등에 대해 분석해 본다. |
연출론 Theory of Directing | 여러 분야의 예술가가 모인 공동작업 속에서 연출가의 위치와 기능과 역할, 그리고 제작과정 속에서 각 단계별 연출의 임무에 대해 이해한다. |
연극사 Theatre History | 원시연극의 발생 기원부터 현대연극까지의 특성을 각 시대별, 사조별로 그리고 대표적인 작가와 작품들을 중심으로 파악한다. |
무대기술 Technology of the Stage Mechanism | 장치, 조명, 음향, 특수효과 등의 기본적인 무대 매카니즘을 이해하고 활용하며, 안전수칙을 숙지하고 극장의 구조와 특성에 따른 기술적 변화와 응용능력을 습득한다. |
예술론 Theory of the Arts | 예술의 개념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하여 예술의 기능과 해석에 대한 이론을 학습한다. 특히 공연예술에 초점을 맞춘다. |
분장실습 Make -up Practice | 작품의 상황과 등장인물의 성격에 맞는 분장의 창조뿐만 아니라 헤어스타일, 의상, 소품, 장신구와의 조화에 역점을 두며 무대분장, 영상분장, 특수 분장으로 나누어 실습한다. |
희곡연구 Studying the Plays | 연극공연의 1차적인 재료가 되는 희곡의 본질과 구성과 구조, 언어, 등장인물, 극의 유형 등에 대해 알아본다. |
커뮤니케이션 이론 Theories of Communication | 대인 커뮤니케이션, 소집단 커뮤니케이션, 조직 커뮤니케이션, 매스 커뮤니케이션 등의 모든 단계의 커뮤니케이션과 뉴 미디어에 대한 이론들을 학습하여 공연예술의 특성이자 가장 큰 장점인 관객과의 쌍방향 소통을 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한다. |
영상매체의 이해 Introduction to Visual Media | 영상매체가 신문, 책 , 잡지 등의 활자매체나 공연예술과 구분되어지는 특성과 장·단점을 파악하여 영상매체 연기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. |
교육연극 Educational Theatre | 교육의 본질과 성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육연극의 효과적인 적용을 탐구하여 연극을 교육 현장에서 활용하도록 한다. |
마임 Mime | 연기자의 비언어적 표현에 대해 연구하고 실습한다. |
매체연기Ⅰ, Ⅱ Acting for the T,V and FilmⅠ, Ⅱ | 영상매체에 대한 학습을 토대로 TV와 영화의 특성에 맞는 연기에 대해 연구하고 활용한다. |
작품 감상 Appreciation of the Performing Arts | 완성된 공연 작품에 대한 감상을 통하여 무대장치, 음향, 음악, 의상, 소품, 조명, 기획, 배우의 연기, 연출의도, 예술성 등을 분석한다. |
공연기획과 제작 Planning and Production of the Performing Arts | 공연예술의 기획과 제작을 위한 전반적인 이해와 현황의 분석 및 대안을 마련하는 과정을 이론과 함께 연구, 조사, 토론을 통해 창조적인 기획자, 제작자의 자질을 연마한다 |
학년 | 학기 | 이수구분 | 교과목명 | 학점 | 시간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소계 | 전공필수 | 6 | 18 | 18 | ||
전공선택 | 28 | 84 | 84 | |||
총계 | 32 | 102 | 102 | |||
1 | 1 | 전공필수 | 기초연기Ⅰ | 3 | 3 | |
전공선택 | 연극개론 | 3 | 3 | |||
2 | 전공필수 | 기초연기Ⅱ | 3 | 3 | ||
전공선택 | 스피치기초 | 3 | 3 | |||
2 | 1 | 전공필수 | 제작실습Ⅰ | 3 | 3 | |
전공선택 | 연기론 | 3 | 3 | |||
뮤지컬 성악I | 3 | 3 | ||||
춤Ⅰ | 3 | 3 | ||||
장면연기실습Ⅰ | 3 | 3 | ||||
2 | 전공필수 | 제작실습Ⅱ | 3 | 3 | ||
전공선택 | 뮤지컬 성악II | 3 | 3 | |||
장면연기실습II | 3 | 3 | ||||
작품 분석 | 3 | 3 | ||||
춤II | 3 | 3 | ||||
3 | 1 | 전공필수 | 제작실습Ⅲ | 3 | 3 | |
전공선택 | 연출론 | 3 | 3 | |||
연극사 | 3 | 3 | ||||
무대기술 | 3 | 3 | ||||
예술론 | 3 | 3 | ||||
분장실습 | 3 | 3 | ||||
2 | 전공필수 | 제작실습Ⅳ | 3 | 3 | ||
전공선택 | 희곡연구 | 3 | 3 | |||
커뮤니케이션 이론 | 3 | 3 | ||||
영상매체의 이해 | 3 | 3 | ||||
교육연극 | 3 | 3 | ||||
마임 | 3 | 3 | ||||
4 | 1 | 전공선택 | 제작실습Ⅴ | 3 | 3 | |
매체연기Ⅰ | 3 | 3 | ||||
작품감상 | 3 | 3 | ||||
2 | 전공선택 | 제작실습Ⅵ | 3 | 3 | ||
공연기획과 제작 | 3 | 3 | ||||
매체연기Ⅱ | 3 | 3 |